연합뉴스|기사입력 2007-11-13 16:20 |최종수정2007-11-13 16:59


평택 미군기지 기공식 규탄대회

(평택=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평택미군기지확장저지 범국민대책위 회원과 지역 주민 150여명은 13일 오후 경기도 평택미군기지 확장예정지 길목인 팽성읍 본정리 농협과 도두리 주변에서 평택미군기지 조성공사 기공식 규탄집회를 열었다.

국방부는 같은 시각 팽성읍 대추리 미군기지이전사업 현장에서 김장수 국방장관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 버웰 벨 주한미군사령관 등 1천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택미군기지 조성공사 기공식을 개최했다.

평택범대위 문정현 상임대표와 한국진보연대 정광훈 공동대표 등 시민단체 회원들은 집회에서 미군기지 확장반대, 힌미동맹 폐기, 환경파괴 성토공사 중단 등을 주장했다.

이들은 본정농협 앞에 모여 약식집회를 갖고 기공식이 열리는 행사장 방향 도두1리까지 1.5㎞ 구간을 도보 행진한 뒤 공사 중단과 기지확장 반대를 촉구하며 2시간 가량 집회를 가졌다.

집회에는 미군기지 확장지역으로 거주지가 수용돼 지난 4월 팽성읍 송화리 포유빌라로 임시 이주한 대추리 주민 10여 명도 자리를 함께 했다.

이들은 "최근 남북정상회담 개최로 한반도에 평화체제 구축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평택에 미군기지를 확장하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라며 "주민 생존권을 짓밟고 백년가는 전쟁기지 건설을 강행한 국방부는 공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경찰은 이날 평택미군기지 확장예정지 주변에 18개 중대 2천여명의 병력을 배치했으나 집회 참가자들과의 별다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대추리 주민 40여가구의 임시 이주단지인 송화리 포유빌라에서는 주민 대다수가 기공식에 불참한 가운데 미군기지 이전사업에 대해 여전히 서운한 속내를 드러냈다.

주민 김모(44)씨는 "상업용지 제공 등 정부가 주민들에게 약속한 것들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정든 마을을 떠난 지 벌써 7개월이 지났는데도 가슴 아픈거야 말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임시 이주단지로 이주하지 않은 옛 대추리주민 박모(52)씨는 "아직 미군기지 이전에 대한 반대여론이 만만치 않지만 국토방위를 위한 기지터로 대추.도두리 땅이 활용된다는데 대한 자부심도 크다"고 말했다.

gaonnuri@yna.co.kr


---------------------------------------------------------------------------------------------------------------

미군의 동북아 ‘군사허브’로


주한미군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미군기지 평택 이전공사가 13일 팽성읍 대추리에서 첫 삽을 떴다.2004년 12월 국회에서 기지 이전협정 비준안이 가결된 지 2년 11개월 만이다.
2012년 완공될 새 기지에는 용산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사령부, 미8군사령부 등 미군 핵심지휘부와 한강 이북의 미2사단 예하부대가 차례로 입주한다. 기지 이전이 마무리되면 평택은 괌, 오키나와와 함께 동북아 미군의 전략적 군사허브로 변신할 전망이다.

●김 국방 “기지이전, 미래전 대처에 기여”


  
이날 기공식은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와 버웰 벨 주한미군사령관 등 1200여명이 참석했다. 김장수 국방장관은 “우리는 급변하는 국제안보 환경 속에서 미래전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다 성숙된 동맹을 요구하고 있다.”며 “미군기지 이전은 이런 염원을 실현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공사는 한·미 양국이 지난 3월 시설종합계획에 합의함에 따라 약 11조원이 투입돼 2012년 말까지 3개 구획으로 나눠 진행된다. 기지가 완공되면 인접한 캠프 험프리와 동북쪽 20㎞ 거리에 있는 오산 미 공군기지, 서쪽으로 20㎞ 떨어진 평택 해군기지와 연계, 육·해·공군 연계작전이 가능할 것으로 미군측은 기대하고 있다. 기지에는 500여동의 본부·행정시설과 정비·보급저장시설, 숙소, 가족주택, 병원 등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서며 미군과 군무원, 가족, 한국측 지원인력 등 4만 4000여명이 생활하게 된다.

●MD 연계 ‘대중국 봉쇄기지’ 우려도

당초 용산기지만을 후방으로 이전할 계획이던 한·미 양국은 2003년 부시 행정부가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 계획을 발표하면서 주한 미군기지 전체를 재배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외국군의 수도 주둔에 정치적 부담을 느끼는 한국 정부의 입장과 주한미군을 한반도 전쟁억제에 주력하는 ‘붙박이군’에서 동북아 분쟁에 신속하게 개입할 수 있는 ‘기동군’으로 전환시키려는 미국측 구상이 맞물리면서 이전 규모가 확대되고 사업의 속도도 급물살을 탄 것이다.

하지만 미군기지 재배치가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려는 부시 행정부의 구상에 따른 것이며, 결과적으로 평택∼군산∼제주를 잇는 서해 벨트가 미국의 미사일 방어계획(MD)과 연결돼 중국 봉쇄를 위한 포위망으로 활용될 것이란 시민단체의 반발에 부딪쳐 진통을 겪기도 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 Recent posts